반응형
RSI(Relative Strength Index)는 주식 매매에서
과매수·과매도 상태를 판단하고 추세 전환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기술적 지표다. 특히 RSI 다이버전스(상승·하락 다이버전스)는 강력한 매매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.
1. RSI 지표란?
RSI는 주가의 상승과 하락 강도를 측정하여 과매수(Overbought)와 과매도(Oversold) 상태를 분석하는 지표다.
RSI 기본 원리
RSI 값은 0~100 사이에서 움직이며, 특정 구간에서 의미 있는 신호가 발생한다.
- RSI 70 이상: 과매수 (매도 신호)
- RSI 30 이하: 과매도 (매수 신호)
RSI 계산 공식
RSI = 100 - (100 / (1 + RS))
RS = 평균 상승폭 ÷ 평균 하락폭
RS = 평균 상승폭 ÷ 평균 하락폭
2. RSI 매매 전략
RSI 30·70 돌파 전략 (과매수·과매도 반전 매매)
RSI가 30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면 매수 기회, 70 이상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하락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.
RSI 다이버전스 전략 (추세 반전 신호)
RSI 다이버전스는 주가와 RSI의 방향이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을 의미하며, 강력한 매매 신호로 작용한다.
- 상승 다이버전스: 주가는 하락하는데 RSI가 상승 → 매수 신호
- 하락 다이버전스: 주가는 상승하는데 RSI가 하락 → 매도 신호
RSI 이동평균선 활용 (골든크로스·데드크로스 전략)
RSI에도 이동평균선을 적용할 수 있으며, 이를 활용하면 보다 정밀한 매매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다.
- 골든크로스: 단기 RSI(9일) > 장기 RSI(14일) → 상승 추세 가능성
- 데드크로스: 단기 RSI(9일) < 장기 RSI(14일) → 하락 추세 가능성
3. RSI 활용 시 유의점
- 강한 추세에서는 RSI 신호가 무효할 수 있다. 상승장에서는 RSI가 70을 넘어서도 계속 상승할 수 있으며, 하락장에서는 RSI가 30 이하라도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.
- 거래량과 함께 분석하면 신뢰도가 높아진다. RSI 신호 발생 시 거래량이 증가하면 신호의 신뢰도가 상승한다.
- 이동평균선, MACD 등과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이다.
4. RSI 실전 적용 사례
상승 다이버전스 발생 → 매수 기회
A 종목의 주가가 10,000원 → 9,500원 → 9,300원으로 하락했지만, RSI가 30 → 35 → 40으로 상승하면 반등 가능성이 크다.
하락 다이버전스 발생 → 매도 기회
B 종목의 주가는 5,000원 → 5,200원 → 5,400원으로 상승했지만, RSI는 70 → 68 → 65로 하락하면 하락 조정 가능성이 크다.
결론
- RSI 30 이하 매수, 70 이상 매도 전략이 기본이다.
- 상승·하락 다이버전스는 강력한 추세 반전 신호로 작용한다.
- 거래량, 이동평균선, MACD 등과 함께 분석해야 신뢰도가 높아진다.
반응형
'투자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목균형표란? 주식 차트에서의 활용법과 투자 전략 (1) | 2025.03.25 |
---|---|
양자컴퓨터 관련 주식과 미래 전망 – 미국 & 한국 주식 투자 전략 (2) | 2025.03.13 |
🔥 트럼프 LNG 정책과 한국 시장 영향 (1) | 2025.03.05 |
📊 비트코인 온체인 데이터로 보는 투자 심리 변화 (3) | 2025.03.05 |
2025년 3월 4일 미국·한국 증시 시황 및 트럼프 정책 관련 영향 (3) | 2025.03.04 |